반응형

mf 2

Singular Value Decomposition 수학적 정리

Singular Value Decomposition (SVD) n X p 매트릭스 X를 위와 같은 요소로 나누는 것이 SVD 어떠한 행렬을 U , D ,V 3개의 값으로 decomposition 할 수 있는 것이 SVD U : n X p , D : p X p (정방 행렬), V: p X p(정방 행렬) 기본적으로는 SVD를 하지않으면 계산이 복잡하기에 적용 (SVD 적용에 따라 모델의 속도차이가 큼, ex) pca는 속도가 빠르다) -> 곱 연산을 할 때 많은 연산들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음 위와 같이 SVD를 통해 임의의 matrix 공분산 구조행렬의 eigen vector, eigen value를 얻을 수 있음 X가 centered 되어있다면 , X^T * X 는 X의 공분산 구조 SVD와 eigen ..

Eigen vector 개념 정리

Eigen value, Eigen vector 정방행렬 A에 대해서 아래 식을 만족 할 경우 v는 고유 벡터 (eigen vector) 그리고 람다는 고유값 (eigen value) Av = 람다v 행렬식이 0 일 때 존재 함 위 그래프와 같이 A는 v를 선형변환한다 ( 선형 변환을 해도 방향은 유지되는 벡터가 고유 벡터고 늘어난 정도가 고유 값) 기하학적으로는 임의의 점 A라는 변형을 할 때 고유 벡터는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 그 의미이고 변화 되는 스케일이 고유 값 수식으로 표현 위의 식에서 , x =0이 아닌 다른 해가 존재하려면, A- 람다*I 가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아야함 행렬식 |A| = 0 이 되는 람다 값을 계산 참고 ) 역행렬 행렬식과 역행렬의 존재성 관계 행렬식 |A| = 0 인 ..

반응형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