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시계열 3

상태 공간 모형 기반의 지수 평활법 및 선형 추세 알고리즘

상태공간 모형 (State Space Models) 시계열 생성 구조를 관측식(observation equation)과 상태 전이식(state transition equation) 두 개의 수식으로 정의하는 시계열 모형 관측식 (Obsevation Equation): 현재의 상태 x_t와 잡음(에러) v_t에 의해 실제로 측정 가능한 출력 y_t를 생성하는 관계식 상태 전이식(State Transition Equation) : 이전의 상태 x_t-1와 현재 생성된 잡음(에러) w_t에 의해 현재의 상태 x_t가 생성되는 관계식 동적 시스템 (Dynamic System) :입력 시계열을 받아 출력 시계열을 내놓는 시스템 (예시) ARMA 모형의 경우 백색잡음 𝜖𝑡를 입력받아 𝑦𝑡를 출력하는 동적 시스템 상..

Time Series Model 2023.05.17

전통 데이터마이닝 vs 딥러닝

1.2.3 Time-series Learning "정확성 vs. 설명력 반비례 관계 존재" * 데이터마이닝 알고리즘 : KNN RF SVM 등은 조금씩 정확성이 상승하지만 그만큼 결과가 왜 그렇게 나왔는지 설명해주는 포인트는 부족해짐 * 실제로 Tree계열 알고리즘은 최대한 데이터를 세분화 시켜서 구분을 짓는것 -> 구분을 Ratio를 보면서 변수의 특성을 추론 하는 것이지 각각의 변수가 모델의 정확성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는 표시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 * 최근에 화두인 DNN(딥러닝)은 정확성이 높음과 반대로 불운하게도 설명력은 거의 없다라고 할정도로 이론적 근거가 뚜렷하게 있지가 않다.. (점추정 형태로 정확도가나왔다)이지 왜 그런 정확성이 나왔는지 통계적인 범위가 나왔다거나 이런것 이없음 bias나 v..

Deep Learning 2020.10.04

가설검정

-1. 기존주장과 신규주장의 비교(가설검정) 필요성1: 대부분의 분석은 "누구나" 할수 있는 "비교(A/B Test)"를 기반으로 하며, 일상생활부터 연구논문까지 다양 필요성2: "설명력"과 "(모델)복잡도"는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으며, 설명력이 수반되는 모델들은 가설검정 해석이 필수 -> 대부분의 통계 및 수학을 기반으로하는 방법론들은 분석의 구현이나 결과에 대해 해석을 포함하지만 최신의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은 성능이 좋지만 이론적 수학적 통계적으로는 엄밀하게 이야기 하는 것이 어려움. 분석목적예시: 양치기들이 거짓말쟁이인가? 나의주장(B): 양치기들은 거짓말쟁이다! 대중주장(A): 양치기들은 거짓말쟁이가 아니다! -2. 가설Setting 조건 3가지: 상호배반적(Mutually Exclusive): ..

반응형
반응형